'혁명적 패배' 신문

제국주의적 전쟁을 벌이는 자국 지배계급에 패배를

마르끄스주의 혁명 정당 '혁명적패배' 소개·가입하기 자세히보기

전략과 전술

침략 전쟁 반대 운동에 대한 전략과 전술

마르끄스주의 혁명 정당 '혁명적패배' 2021. 12. 19. 19:40

침략 전쟁 반대 운동에 대한 전략과 전술

조익진 (2021-12-7)

조동연은 이재명 대선 캠프 공동선대위원장에서 사퇴했다. 그는 장교 출신으로 이라크 파병부대에 근무했다. 저열한 여성차별적 공격은 문제이나 애초 침략 전쟁을 돕는 친미적 파병 부대에 근무한 인물을 캠프 지도자로 정한 것은 미국을 이따금 비판하곤 하는 이재명의 사민주의적 진보 스펙트럼의 강점을 약화시킨다.

부당한 침략 전쟁뿐만 아니라 동시에 존재했던 침략 전쟁 반대 운동에 대한 사회주의자의 전략과 전술을 제시함으로써 패권주의적 대외 정책에 맞선 정치를 발전시키고자 한다.


이라크와 베트남 반전 운동의 경험

이라크와 베트남 반전 운동의 경험을 평가해야 한다.

둘 모두 노동계급의 행동이 불충분했다. 이라크 반전 운동에서 노동계급의 조직적 참여와 파업 행동은 매우 저조했다. 베트남 반전 운동에서 프랑스 이외의 지역에서는 노동계급의 대중파업이 운동과 거의 결합되지 않았다. 거대한 운동이 벌어진 것에 비해 꾀죄죄했다.

운동이 광범했음에도 침략을 막지 못했고 혁명으로 발전하지도 않았다.

베트남 반전 운동에서 미국 등지에서는 애초 운동이 혁명적 수준에 미치지 못했고 프랑스에서도 대중파업이 더 발전하지 못했다. 이라크 반전 운동은 ‘제2의 슈퍼 파워’라는 별칭을 얻고 몇 개의 정부를 퇴진시키기도 했으나 그 이상 나아가지는 못했다.

결국 두 운동 모두 침략을 저지하지 못했다. 베트남과 이라크에서 미국과 동맹국들의 군대가 쫓겨나는 데는 몇 년의 시간이 더 필요했다.


아래로부터 반제국주의 건설

이는 노동계급 정치가 약했기 때문이다.

민족 강령이나 평화주의 강령이 아니라 노동계급적 요구를 행동강령으로 제시해야 했다. 이는 노동계급 행동 일으키기로 결합돼야 했다. 이를 통해 반제국주의적 노동자 혁명이 국제적 사회주의 혁명으로 발전해야 했다. 이는 아래로부터 반제국주의다.


전쟁 반대가 아니라 침략 반대

노동계급적 요구인 아래로부터 반제국주의는 첫째, 전쟁 반대가 아니라 침략 반대로 표현돼야 한다. 침략국 군대의 만행과 침략당하는 국가의 저항을 구분하지 않는 전쟁 반대 구호와 달리 침략 반대는 패권주의적 공격 행위의 부당성을 분명히 드러내준다. 이는 노동계급을 결집하여 행동으로 촉발할 수 있는 좋은 전술이다.

이는 침략 이후 점령 중단 요구를 초점으로 맞추기도 좋다.


친미 파병 반대

둘째, 그냥 파병 반대가 아니라 친미 파병 반대를 내세워야 한다. 미국의 전쟁에 대한 반감이 운동으로 드러나야 한다. 반제국주의를 강조해야 노동계급에게 더 설득력 있다.

이런 요구에 기초해 노동계급을 운동에 동참시키고 대중파업을 일으켜야 한다. 이는 혁명으로 나아갈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런 일들을 하려면 사회주의자가 조직돼 있어야 한다. 그러나 사회주의를 표방한다고 해서 혁명적 전략전술의 문제가 곧바로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사진 출처 : https://www.thoughtco.com/the-dagenham-womens-strike-of-1968-3528932

 

Demanding Equality at the Dagenham Ford Factory

The strike of women workers at the Dagenham Ford Factory in 1968 drew attention to the issue of equal pay for the sexes in the United Kingdom.

www.thoughtco.com